본문 바로가기
728x90

linux c7

메모리(Memory)관리-(2) □ Zone - 노드에 존재하는 물리메모리 중 16MB이하 부분을 관리하기 위해 node의 일부분을 따로 관리할 수 있도록한 자료구조 □ Page frame - 각각의 Zone은 자신에 속해 있는 물리 메모리들을 관리하는데, 이 물리 메모리의 최소단위 - 모든 페이지 프레임 당 하나씩 page 구조체가 존재. 이는 시스템이 부팅되는 순간에 구축되어 역시 물리 메모리 특정 위치에 저장 되는데 이 위치는 mem_map이라는 전역 배열을 통해 접근. 그림처럼 복수 개의 페이지 프레임이 zone을 구성하며 떄에 따라 하나 혹은 그 이상의 zone이 node를 구성하며, 역시 시스템 구조에 따라 하나 혹은 그 이상의 node가 존재하는 것이 리눅스의 전체 물리 메모리 관리 구조. 2016. 9. 9.
포인터(Pointer) □ 포인터는 변수의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다 변수는 메모리 상의 저장 공간이므로 그 위치(주소)를 알면 사용할 수 있다. □ 주소 연산자(&)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메모리에는 바이트별로 주소값이 있다. 이 값은 0부터 시작하고 바이트 단위로 1씩 증가하므로 2바이트 이상의 크기를 갖는 변수는 여러 개의 주소값에 걸쳐 할당된다. 예를 들어 변수 a가 메모리 100번지부터 할당되었다면 100번지부터 103번지까지 4바이트에 걸쳐 할당된다. 주소는 변수가 할돵된 메모리 공간의 시작 주소를 사용 주소 연산자(&)의 사용법 예제 포인터는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로 일반 변수와 마찬가지로 선언한 후에 사용한다. 선언하는 방법은 변수 앞에 *만 붙여주면 된다. 간접참조 연산자(*) 예제) *pa == num ① num.. 2016. 9. 8.
메모리(Memory)관리-(1) □ SMP(Symmetric Multiprocessing) - 복수 개의 CPU를 가지고 있는 컴퓨터 시스템 중 모든 CPU가 메모리와 입출력 버스 등을 공유하는 구조 □ NUMA(Non-Uniform Memory Access) - CPU들을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의 그룹에게 별도의 지역 메모리를 주는 구조 □ Bank - 리눅스에서 접근 속도가 같은 메모리의 집합 - UMA구조(NUMA의 반대)는 한 개의 뱅크가 존재 - NUMA구조라면 복수개의 뱅크가 존재 □ Node - 뱅크를 표현하는 구조 (~/include/linux/mmozone.h) - 만약 UMA 구조(Uniform Memory Access)의 시스템에서 리눅스가 수행된다면 한 개의 노드가 존재할 것이며, 이 노드는 리눅스의 전역 .. 2016. 9. 6.
태스크(task)관리-(5) □ 문맥 교환(context switch) - 수행 중이던 태스크의 동작을 멈추고 다른 태스크로 전환하는 과정을 문맥 교환이라 부른다. 리눅스 커널은 태스크가 문맥교환 되는 시점에 어디까지 수행했는지, 현재 CPU의 레지스터 값은 얼마인지 등을 저장해 둔다. 이를 문맥 저장(context save)이라 한다. 즉, 스케줄링이 일어나면 문맥 교환이 발생하고, 문맥 교환 시엔 현재 수행 중이던 태스크의 문맥을 저장해 두어야 한다. □ 문맥 저장(context save) - 태스크가 문맥 교환 시점에 어디까지 수행되었는지를 현재 CPU의 레지스터값이 얼마인지를 저장한다. - task_struct의 thread 필드(struct thread_struct 타입)에 저장 - 태스크가 실행하다가 중단되어야 할 때 태.. 2016. 9. 2.
태스크(task)관리-(4) □ 런 큐와 스케줄링 - 여러 개의 태스크들 중에서 다음번 수행시킬 태스크를 선택하여 CPU라는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을 스케줄링이라 한다. 리눅스의 태스크는 실시간 태스크0~99단계(숫자가 높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음), 일반 태스크100~139까지 사용하며, 실시간 태스크는 항상 일반 태스크 보다 우선하여 실행된다. ○ 런 큐와 태스크 - 리눅스에선 스케줄링 작업을위해 런 큐(Runqueue) 자료구조를 통해 관리한다. 스케줄러가 수행되면 해당 CPU의 런 큐에서 다음번 수행시킬 태스크를 골라낸다. 어떤 태스크를 선택할지는 일반 태스크를 위해 CFS(Completely Fair Scheduler)를 사용하며, 실시간 태스크를 위해서는 FIFO, RR, DEADLINE 정책을 제공한다. ○ 실시간 태스크 스.. 2016. 9. 2.
태스크(task)관리-(3) □ 상태 전이(State Transition)와 실행 수준 변화 태스크는 생성된 뒤, 자신에게 주어진 일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디스크 I/O나 락(Lock)등 CPU 이외의 자원을 요청하기도 한다. 만약 태스크가 당장 제공해 줄 수 없는 자원을 요청한다면 커널은 이 태스크를 잠시 '대기' 하도록 만든 뒤 다른 태스크를 먼저 수행시키며, 태스크가 요청했던 자원이 사용 가능해지면 다시 '수행' 시켜 줌으로써 보다 높은 시스템 활용률을 제공하려 한다. 따라서, 태스크는 상태 전이(state transition)라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그림에서 EXIT_ZOMBIE와 EXIT_DEAD는 task_struct 구조체의 exit_state 필드에 저장되는 값이며, 그 외의 상태들은 state 필드에 저장된다. .. 2016. 9. 1.
태스크(task)관리-(2) fork()는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함수이고, clone()은 쓰레드를 생성하는 함수인데 커널 내부에서 마지막으로 호출되는 함수 do_fork()로써 동일한데 이런게 가능한 이유는 리눅스는 모두 task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fork()는 비교적 부모태스크와 덜 공유하는 task이고 clone()은 비교적 부모태스크와 많이 공유하는 task이다. 즉, do_fork()를 호출할 때 이 함수의 인자로 부모 태스크와 얼마나 공유할지를 정해 줌으로써, fork()와 clone() 함수 둘 다를 지원 할 수 있는 것이다. □ tgid(Thread Group ID) 시스템에 존재하는 모든 태스크는 유일하게 구분이 가능해야 한다. 태스크 별로 유일한 이 값은 task_struct 구조체 내의 pid 필드에 담겨있다... 2016. 8. 30.
728x90